top of page

생각의 여름
Summer of Thoughts, 思夏期
Seoul-based Singer-songwriter

  • unnamed
  • Instagram
  • X
  • YouTube
  • Facebook
  • Threads

정규/EP

(LPs/EPs)

싱글/협업
(Singles/Collaborative Works)

소식
(News)

​비디오

(Video Material)

인터뷰/보도자료

(Interviews/Press Releases)

박종현
Park Jonghyun
음악인류학, 연행의 인류학 / Anthropology of Music and Performance
언어 및 기호인류학 / Linguistic and Semiotic Anthropology
Adjunct Professor,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 unnamed
  • Facebook

주요 글

2016 "Rap as Korean Rhyme: Local Enregisterment of the Foreign," Journal of Linguistic  Anthropology 26(3): 278-293.
(2021 「한국어 라임으로서 랩: 낯선 것의 지역적 레지스터화」, 『현대 한국사회의 언어문화』,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번역 및 수정본 수록).)
2023 「국악-재즈 크로스오버와 전통 확장 이데올로기」, 『국악원논문집』 47: 57-74쪽.
2024 「디아스포라의 연행적 가시화와 음악의 표상: 제주 4·3 전야제 사례」, 『음악과 문화』 51: 27-51쪽.

주요 발표

2013 “Rap as Korean Rhyme: Local Enregisterment of the Foreign,” Heteroglossias and Heterogenieties: The Society for Linguistic Anthropology Graduate Student Paper Competition Roundtable,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2013 Annual Meeting, Chicago, United States.
2017 “도전으로서의 월드 “오케스트라”: 중앙아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포럼 “월드 오케스트라의 현황과 가능성 탐색”, 안산, 안산시립국악단.
2018 “Rescaling Contemporariness: “Creative” Pansori Music Theatre Performance in South Korea,” UNESCO ICTM-MEA (국제전통음악학회 동아시아음악연구회), 서울, 국립국악원.
2021 ““월드뮤직 월드”와 외래 음악의 새로운 시공간”, 세계음악학회 2021년 정기학술대회의 세션 “한국 월드뮤직 현장의 문화번역적 실천”, 온라인.

주요 번역

2018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시리즈 『강릉 단오제 (Gangneung Danoje)』 (문화체육관광부/(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한영번역.
2019
「Vocal Music」, 『북한의 연행예술 (Performing Arts of North Korea)』 (국립국악원) 한영번역.
2019
「Janggu」, 「A Composer’s Thought on Traditional Instruments」, 『창작을 위한 국악기 이해와 활용 2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A Practical Guide for Composers 2』 (국립국악원) 한영번역.
2022
전체이기에 부서지는: 주체사상, 그리고 북한의 주체성의 영역」, 『북한의 사회변동과 혼종성 1: 주체사회의 모호한 경계들』 (한울아카데미) 영한번역.
2023 『후생동물: 바다로부터 뭍까지, 동물에게서 배우는 마음의 진화와 생명의 의미』 (도서출판 이김) 영한번역.

박종현
Park Jonghyun
전통음악평론 / Traditional Music Critic

  • unnamed
  • Facebook

주요 글

2020.8 「소리풍경과 그 주변을 지켜보기, 겪어보기: 코로나 시대의 예술가들」, 월간 『시인동네』.
2022.2 「영원한 과제, 무악의 무대화와 현재화 <비손>」, 잡지 『더무브』. 읽기
2022.3 「거리유세라는 버스킹과 극장국가」, 잡지 『더무브』. 읽기
2022.5 「7080이라는 소리, 장소 혹은 행위들」, 잡지 『더무브』. 읽기
2022.5 「예인과 시민, 길 위에서의 마주침 <장단의 민족: 바우덕이 트랜스포머>」, 잡지 『더무브』. 읽기
2022.6 「백 년 동안의 역동 - 산조대전과 산조포럼」, 잡지 『더무브』. 읽기
2023.2 「서울남산국악당 [마이 판소리]: 언어를 넘다, 소리로 삶을 곱씹는다」, 웹진 『산:문』. 읽기
2023.4 「국악-재즈 크로스오버와 전통 확장 이데올로기」, 『국악원논문집』 47. 읽기
2023.5 「고즈넉이, 전통 실내악사의 방문을 열며 -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기획공연 한국 작곡가 시리즈 II 다시보기」,『국악누리』 2023년 5/6월호. 읽기
2023.10 「2023 전주세계소리축제 리뷰: 열린 판으로 섞여드는 소리, 사람, 그리고 세계」, 『전북일보』, 2023.10.17. 읽기
2023.12 「선한 의도와 공연, 그 고민의 틈 사이: 리뷰 - 서울돈화문국악당 [월드뮤직그룹 공명 '길, Tea, Pleasure']」, 웹진 『산:문』. 읽기
2024.3 「서울남산국악당 [2024 한국즉흥음악축제 메인 콘서트]: 즉흥의 콘셉트로 무장한 축제, 묵직한 과제를 남기다」, 웹진 『산:문』. 읽기
2024. 9 「실험-놀이터로서의 국악실내악: 서울돈화문국악당 [2024 실내악축제 - 페스티벌 앙상블」, 웹진 『산:문』. 읽기
2024.10
 「'한데 모임'의 즐거움, '오인된 대중성'의 아쉬움: '제2회 대한민국국악관현악축제' 돌아보기」, 잡지 『더무브』. 읽기
2024.11 「리뷰 | 서울돈화문국악당 <서울소리:잡가雜歌>」, 웹진 『산:문』. 읽기
2024.12 「문학의 안과 밖: 두 경험 - 현대시와 음악」, 계간 『서정시학』 2024년 겨울호(통권 104호).
2015.1 「리뷰 | 해금으로 빚어낸 우직함의 미학: 허윤재 해금독주회 <여민락: 파생>」, 잡지 『더무브』. 읽기
2015.1 「음반으로 남은 근현대 성악곡 (1): '정년이'로 되새기는 매스 미디어 시대의 판소리 스탠더드」, 『국악누리』 2025년 1/2월호(통권 201호). 읽기

bottom of page